AI 가상인간의 유래
요즘 핫한 키워드 중 하나인 가상인간 '로지' 다들 들어보셨나요? 로지는 인스타그램 팔로워수가 2만명 이상이고 광고모델로도 활동중입니다. 이렇게 유명해진 로지 덕분에 최근 주식시장에서도 큰 이슈가 되고있는데요. 과연 어떤 기업들이 수혜를 받고 있는지 알아보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에서는 누가 최초인가요?
최초의 가상인간은 일본 사이버가수 '아담' 입니다. 아담은 1999년 데뷔해서 당시 엄청난 인기를 끌었지만 2002년 6월 4일 돌연 은퇴선언을 하고 자취를 감췄습니다. 이후 국내에선 싸이더스 스튜디오 엑스(이하 싸스)라는 회사에서 만든 버추얼 인플루언서 '로지'가 최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가요?
실제 인간처럼 행동하며 SNS 등 온라인상에서 활동하는 디지털 휴먼이며 실제 인물과 유사하게 만들어진 가상인물입니다. 기존 연예인들과는 달리 사생활 논란 없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버추얼 인플루언서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됩니다. 먼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해 얼굴형, 이목구비, 체형 등 외모를 만들고 목소리나 말투 같은 음성 데이터를 학습시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구현하면 완성됩니다.
어디서 만날 수 있나요?
현재 주요 대기업 및 금융권 홍보 모델로 활동하고 있으며 패션 브랜드 화보 촬영, 뮤직비디오 출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신한라이프 TV광고 영상 속 댄스 챌린지 이벤트 진행하면서 대중들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가상인간 AI 전망
앞으로의 전망은 어떻게 되나요?
최근 메타버스 열풍이 불면서 가상인간 시장 규모 역시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가상인간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이에 맞춰 국내외 IT기업들도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고 글로벌 컨설팅 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는 2025년 세계 가상인간 시장 규모가 약 7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아래는 가상인간 기술을 활용하는 회사들의 미래 전망에 대한 설명입니다.
- 기술 발전과 혁신 AI 가상인간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신경망, 증강 현실(AR), 가상 현실(VR), 그래픽 처리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통합되어, 가상인간의 외형과 행동이 점점 인간처럼 현실감 있게 구현될 것입니다.
- 광범위한 산업의 적용 가상인간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기업들은 광고, 영화 및 드라마 제작, 게임, 음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상인간을 활용하여 차별화된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가상인간 관련 회사들은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갈 것입니다.
- 인공지능의 진화 최근에는 GPT-3 등의 AI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인간이 보다 지능적인 대화와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진화는 가상인간 기술의 활용 가능성과 작업 효율성을 높여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가질 것입니다.
- 이종간 연결 가상인간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과 가상인간 간의 경계가 모호해질 수 있습니다. 가상 인간과의 협업, 감정적 인터랙션, 인간처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함께 일하는 경우도 늘어날 것입니다.
AI 가상인간 관련 회사들에 대한 전망은 매우 긍정적이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전망을 바탕으로 이들 회사들은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고 이롭게 활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에서 AI 개발 중인 주요 회사
- 네이버 (Naver) 네이버는 한국의 IT 기업으로 검색 엔진, 포털 서비스, 클라우드,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클로바(Clova)는 인공지능 비서 서비스로 다양한 언어 처리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 카카오 (Kakao) 카카오는 메신저를 시작으로 AI, 소셜 뉴스, 게임, 금융, 배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카카오의 대표적인 AI 기술로는 카카오 아이(Kakao I)가 있으며, 인공지능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한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삼성전자 (Samsung) 삼성전자는 세계적인 일렉트로닉스 기업으로 스마트폰, 전자제품, 반도체 등 분야에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서비스인 빅스비(Bixby)를 통해 목소리를 인식하고 제품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홈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SK 텔레콤 (SK Telecom) SK 텔레콤은 통신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회사로, 인공지능 플랫폼인 누구(NUGU)를 통해 AI 스피커, 인공지능 비서 등 AI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엔씨소프트 (NCSoft) 엔씨소프트는 온라인 게임 분야에서 성공한 기업으로, 국내 게임 시장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현재 엔씨소프트는 AI 기반 성우 기술플랫폼인 "신디"를 개발하고 있으며, 게임 캐릭터의 음성을 AI를 통해 생성할 수 있습니다.
- LG전자 (LG Electronics) LG전자는 가전제품, 모바일 통신 및 자동차 부품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AI를 활용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올레드(OLED) TV와 로봇 청소기, 에어컨 등 여러 가전 제품에 인공지능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모바일 게임, 가상현실(VR), 자율주행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많은 한국 기업들이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과 혁신에 따라 국내 AI 관련 산업도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증권&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꼴지 않는 투자 = 장기 성장주가 정답! (0) | 2023.05.27 |
---|---|
꼴지 않는 주식 투자 방법 (0) | 2023.05.27 |
주식투자 매수와 매도 Timing? (0) | 2023.05.26 |
전미 투자 우승자가 말하는 초수익 성장주 주식투자~! (0) | 2023.05.25 |
2023 기대주 삼성전자 그외 반도체 4주 (0) | 2023.05.25 |
댓글